Statements (49)
| Predicate | Object |
|---|---|
| gptkbp:instanceOf |
gptkb:역사서
|
| gptkbp:author |
일연
|
| gptkbp:conservationStatus |
완전본 존재
|
| gptkbp:contains |
단군신화
수로왕 신화 연오랑세오녀 주몽신화 |
| gptkbp:countryOfOrigin |
고려
|
| gptkbp:culturalHeritage |
국보 제306호
|
| gptkbp:editor |
일연
|
| gptkbp:genre |
gptkb:설화
불교문학 역사 |
| gptkbp:influenced |
gptkb:한국_불교
한국 문학 한국 민족주의 |
| gptkbp:influencedBy |
gptkb:불교
구전 설화 삼국사기 |
| gptkbp:language |
고려 중기 한문
|
| gptkbp:manuscriptLocation |
gptkb:국립중앙도서관
|
| gptkbp:mediaType |
gptkb:book
|
| gptkbp:notableFor |
다양한 구전 설화 수록
단군신화 최초 기록 |
| gptkbp:originalTitle |
三國遺事
|
| gptkbp:preservedIn |
gptkb:국립중앙도서관
|
| gptkbp:publicationDate |
1281년경
|
| gptkbp:relatedEvent |
고려시대 불교 부흥
|
| gptkbp:relatedTo |
gptkb:최우
경상북도 군위군 인각사 삼국사기 일연 |
| gptkbp:releaseDate |
고려시대 목판본
|
| gptkbp:significance |
한국 고대사 연구의 주요 사료
한국 설화와 민속 연구의 주요 자료 |
| gptkbp:structure |
5권 9편
|
| gptkbp:subjectOf |
다큐멘터리
소설화 학술 연구 |
| gptkbp:topic |
gptkb:설화
gptkb:불교 삼국시대 역사 |
| gptkbp:translatedInto |
gptkb:프랑스어
영어 일본어 중국어 |
| gptkbp:bfsParent |
gptkb:Samguk_Yusa
|
| gptkbp:bfsLayer |
7
|
| https://www.w3.org/2000/01/rdf-schema#label |
삼국유사
|